
2025년 현재, 전국 모든 지자체는 종량제 쓰레기봉투 제도를 시행 중입니다.
지역마다 가격과 판매 규정이 달라, 같은 용량의 봉투라도 가격 차이가 크게 납니다.
이번 글에서는 서울, 경기, 부산, 대구, 광주 등 주요 도시의 종량제 봉투 가격을 비교하고 효율적인 사용 팁을 소개합니다.
1. 종량제 봉투 제도란?
쓰레기 종량제는 1995년부터 시행된 제도로, ‘많이 버릴수록 요금을 더 낸다’는 원칙을 적용합니다.
재활용을 늘리고 생활쓰레기 배출을 줄이기 위한 정책으로, 모든 가정과 사업장은 지정된 종량제 봉투를 사용해야 합니다.
각 지자체가 자체 조례로 가격을 정하기 때문에 지역별 가격 차이가 존재합니다.
2. 지역별 종량제 봉투 가격 비교 (2025년 기준)
| 지역 | 10L | 20L | 50L | 100L | 비고 |
| 서울특별시 | 240원 | 480원 | 1,190원 | 2,370원 | 25L 없음 |
| 경기도(평균) | 230원 | 460원 | 1,150원 | 2,280원 | 시·군별 차이 있음 |
| 인천광역시 | 250원 | 500원 | 1,200원 | 2,400원 | 일률적 요금제 |
| 부산광역시 | 210원 | 420원 | 1,050원 | 2,090원 | 저렴한 편 |
| 대구광역시 | 230원 | 460원 | 1,150원 | 2,300원 | |
| 광주광역시 | 250원 | 500원 | 1,250원 | 2,500원 | |
| 대전광역시 | 240원 | 480원 | 1,200원 | 2,400원 | |
| 세종특별자치시 | 220원 | 440원 | 1,100원 | 2,200원 | |
| 강원특별자치도 | 200원 | 400원 | 1,000원 | 2,000원 | 도내 차이 존재 |
| 충청북도 | 220원 | 440원 | 1,100원 | 2,200원 | |
| 충청남도 | 230원 | 460원 | 1,150원 | 2,300원 | |
| 전라북도 | 240원 | 480원 | 1,200원 | 2,400원 | |
| 전라남도 | 200원 | 400원 | 1,000원 | 2,000원 | |
| 경상북도 | 220원 | 440원 | 1,100원 | 2,200원 | |
| 경상남도 | 210원 | 420원 | 1,050원 | 2,100원 | |
| 제주특별자치도 | 250원 | 500원 | 1,250원 | 2,500원 | 높은 편 |
서울, 광주, 제주는 상대적으로 비싸고, 부산, 강원, 경남 지역은 저렴합니다.
예를 들어 서울에서 50L 봉투 10장을 사용하면 약 11,900원이지만, 부산은 약 10,500원으로 1,400원 절약됩니다.
3. 지역별 가격 차이의 이유
가격 차이는 지자체의 폐기물 처리비용과 인건비, 재정 상황 때문입니다.
대도시는 폐기물 양이 많고 처리시설이 멀리 있어 단가가 높습니다. 반면, 중소도시는 시설 접근성이 좋아 운반비가 낮습니다.
일부 지역은 환경개선부담금이 포함되어 가격이 더 오르기도 합니다.
4. 종량제 봉투 구입처 및 절약 팁
구입처: 주민센터, 편의점(CU, GS25 등), 대형마트, 일부 온라인몰(지역 인증 필요)
다른 지역 봉투는 사용할 수 없으며, 반드시 거주지 시·군·구 명이 인쇄된 봉투를 사용해야 합니다.
절약 팁:
- 50L 대신 20L 봉투를 사용하면 내용물 압축이 쉬워 배출 횟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 음식물과 재활용품을 철저히 분리하면 일반쓰레기량을 약 30% 줄일 수 있습니다.
- 공동주택은 RFID 음식물 종량기 사용 시 추가 절감 가능.
환경부에 따르면 2024년 기준 1인당 생활폐기물 배출량은 하루 평균 1.09kg으로, 종량제 도입 전보다 약 18% 감소했습니다.
5. 지역별 봉투 크기 및 특징
| 지역 | 봉투 용량 | 특징 |
| 서울특별시 | 5L, 10L, 20L, 50L, 100L | 가장 세분화된 규격 |
| 경기도 | 5L~100L | 25L 봉투 운영 시군 존재 |
| 부산광역시 | 10L, 20L, 50L | 대형 봉투 중심 |
| 제주특별자치도 | 5L~50L | 투명 봉투 도입 확대 중 |
| 강원·전남 등 | 10L, 20L | 농가용 별도 봉투 있음 |